내일 배움 캠프 (54)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4-01-11 오늘은 프로젝트 8일 차이다. 오늘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공연 회차별 좌석 코드 및 테스트 코드 작성 1. 오늘은 공연 회차별 좌석 코드를 마무리하고 태스크 코드까지 완료하고, 중간에 공연 회차별 좌석 코드를 리펙토링 중에 튜터님의 멘토링을 받았다. 기존에 사용했던 방식은 기존에 입력해 놨던 좌석정보와 회차정보를 넣어주고 Request 받은 경매 좌석 번호를 통해서 경매좌석과 일반좌석을 생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는데 튜터님이 이렇게 저장하면 나중에 DB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마다 수백 개에서 수만 개의 데이터가 생성이 될 텐데 공연이 추가될수록 데이터가 누적되면서 나중에 Join을 하려면 수만 개의 데이터를 조회해야 하기 때문에 나중에 DB가 작동을 멈추는 즉 뻗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 2024-01-10 오늘은 프로젝트 7일 차이다. 오늘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공연 추가 API Test 코드 작성 및 공연 회차별 좌석 기능 구현 진행 공연 추가 API TEST 코드를 작성하다 보니 테스트 코드 자체에서 문제가 있었는데 GoodsEntity를 생성할 때 연관 관계가 맺어 있는 Entity를 추가하고 보니 공연 추가 API에서는 Respone에 대한 응답값이 없어서 테스트를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진행해야 되는지 고민이 됐다. 여러 찾아보니 API자체 안에 있는 각 메서드의 기능들을 더 쪼개서 단위테스트를 진행하면 된다고 해서 여러 설정을 마치고 단위테스트를 진행했다. Service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제일 문제가 됐던 부분은 공연을 생성할 때 공연만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연관관계에 있.. 2024-01-09 오늘은 프로젝트 6일 차이다. 오늘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Admin 공연장 추가 API Test, Admin 공연 추가 API 기능 구현 오늘 코드를 작성하면서 문제가 됐던 부분은 Request를 받을 때 List 부분에서 @NotNull를 사용하여 검증을 하고 있었는데 List는 생각해 보니 Request에서 List에 대한 값이 없는 상태로 요청이 올 때는 Null이 아니라 비어있는 객체로 들어오기 때문에 @NotEmpt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빈 객체인지를 체크해야 된다. 또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Validation에 대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때 테스트 하는 방식에 대해서 배웠다. private static ValidatorFactory factory; private static.. 2024-01-08 주말과 오늘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주말동안 진행하면서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막혔던 부분에 대해서 의논한 내용을 정리한 글 01/06 Code Convention 대한 의견정리 안건1 : 객체지향의 5가지 원칙중 의존 역전 원칙 코드 컨벤션 추가 설정함! User of(String email, String password…), User of(UserCreateRequest) entity는 request에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로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함 Request.toEntity(User) → User of(String email, String password…) 이 부분의 이후 문제점을 발견, Sequence 같은 경우 request가 필요하지 않는데 이것을 통일화하기 위해서는 S.. 2024-01-05 최종프로젝트 2일차이다. 한일은 다음과 같다. 1. ERD 수정 및 API 명세서 작성 2. 프로젝트 기본 틀작성 및 git hub project 생성에 대한 이슈 작성 1. ERD의 보기 힘든 부분과 연관관계가 부적절하게 연결돼있다고 생각되어 수정을 진행했고 수정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ERD에서 수정된 부분은 경매와 연관관계를 맺고 있던 좌석을 끊고 공연 회차별 좌석과 1:N으로 연결하여 기존에 문제였던 회차마다의 경매에 대한 결과값을 어떻게 가져올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했다. 2. 본격적으로 기본적인 Convention을 설정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init 설정을 위해 프로젝트를 생성 및 CodeWithMe로 다같이 뼈대정도만 생성해서 업데이트를 하고 이슈 관리를 위해 Github .. 2024-01-04 오늘은 최종프로젝트 1일 차이다.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Code Convention 및 Github Rules 작성 2. wireframe, erd 작성 1. 최종프로젝트인 만큼 시작부터 팀원과의 Code Convention을 작성했다. 어떤 Rule을 바탕으로 코드의 꼬임을 없앨 것인지 정하기 위해서이다. Code Convention은 다음과 같다. ### Entity - `@Setter` 사용 금지 - `@Builder` 패턴 ? - 팩토리 메서드 ? ### Response - Custom ResultCode 사용 - Custom ResponseEntity 사용 - code : 서비스 코드값 - 도메인 첫 글자 대문자 + 0(성공) / 1 (실패) + XX ( 0~99 하위 기능) + X.. 2024-01-03 오늘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최종점검 및 발표 준비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마지막날이다. 최종적으로 기능테스트 및 발표준비를 하면서 하루를 보냈다. 프로젝트에 대한 정리를 했으며 정리를 하다 보니 늦어졌다. https://developer-backend.tistory.com/71 Spring Trello Project 1. 프로젝트 개요 2. 프로젝트 요구 명세서 3. 개발 인원 4. 개발 기간 5. 개발 언어 6. 프로젝트 소개 및 목표 7. 프로젝트 진행 및 고찰 8. 느낀점 9. GitHub URL 10. YouTube URL 1. 프로젝트 개요 스파르타 developer-backend.tistory.com https://developer-backend.tistory.com/7.. 2024-01-02 오늘은 팀프로젝트 8일 차이며 주말 및 오늘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테스트를 통한 버그 수정 및 마감 기한 기능 추가 1. 주말동안 Card CRUD를 테스트하면서 카드 이동도 같이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카드 이동에서 문제인 부분을 발견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다른 칼럼으로 카드를 이동할 때나 동일 칼럼 안에서 카드의 번호가 윗번에서 아래번으로 옮긴다면 문제가 안되지만 아래번에서 위의 번호로 옮길때는 순서가 이동되지 않는 즉 가중치가 해당 번호에 맞는 가중치로 변경되지 않았다. 에러의 상황: 2번 카드를 4번으로 옮기려고 할 때 결과 a(1), b(2), c(3), d(4), e(5) -> a(1), b(1.5), c(3), d(4), e(5) 따라서 위의 문제되는 상황을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목록 더보기